Git

Git

5. 버전 관리 - 여러 개의 파일을 버전으로 만들기

nano hello1.txt을 통해 hello1.txt에 3을 추가한다. 그리고 새로운 파일을 하나 만든다. 여기에 3을 입력한다. 그리고 git status를 통해 상태를 확인해보면 hello1.txt는 Staging Area에 올라와 있지 않다고 나온다. hello2.txt는 Untracked files로 관리되고 있지 않다고 나온다. 이 두 파일 모두 Staging Area에 올라와 있지 않다는 공통점이 있다. 하지만 hello1.txt는 우리가 1회 이상 버전 관리를 해왔기 때문에 git은 hello1.txt를 기억하고 있다. 즉, git이 관리하고 있는 상태이다. hello2.txt는 한번도 버전 관리를 한 적이 없기 때문에 git은 hello2.txt를 인식하지 못한다. 따라서 hello2.t..

Git

4. 버전 관리 - 버전 만들기

Repository(.git) : 버전이 저장되어 있는 곳 Working tree : 버전으로 만들어지기 전 단계 Staging Area : 버전으로 만들고 싶은 파일을 올려놓는 곳 (10개의 파일 중 2개를 버전으로 만들고 싶다면 그 2개만 Staging Area에 올린다) git은 Staging Area에 있는 파일만 버전으로 만들어 Repository에 넣는다. 위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의 화면으로 전환된다. 내용을 입력하고 Ctrl + x 를 눌러 나가려고 하면 저장 여부를 물어보고, Y를 누르면 파일 이름을 다시 물어보고 엔터를 누르면 파일이 생성된다. cat 명령어는 cat 뒤 파일명에 해당하는 파일에 입력된 내용을 화면에 출력해준다. git status 명령어를 통해 상태를 확인할 수..

Git

3. 버전 관리 - 시작

git에게 특정한 폴더에서 버전 관리를 하고 싶으니 폴더를 관리할 수 있도록 등록해야 한다. 버전 관리할 폴더를 하나 생성하자. 나는 문서에 git이라는 폴더를 생성했다. 터미널을 통해 git 폴더로 이동하자 pwd는 현재 위치를 알려준다. cd를 통해 Documents 폴더 내의 git으로 이동했다. ls -al은 숨김 항목을 포함하여 항목들을 자세히 보여준다. mkdir을 통해 hello-git-cli라는 폴더를 생성했다. git init .을 통해 버전 관리를 시작하겠다고 알려주었다. 그 후 ls -al을 통해 확인해보면 .git이 생겼다. (repository 생성) 숨김 항목 표시를 선택해 보면 .git 폴더가 생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버전 정보들이 .git 안에 생성되기 때문에 .git 폴..

Git

2. 버전 관리 - 설치

https://git-scm.com/ Git git-scm.com 설치 화면에서 특별히 수정할 필요 없이 기본값으로 두고 next만 해서 설치하면 된다. 명령어를 통해 제어하려면 Git Bash를 클릭한다.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콘솔 혹은 터미널에서 git이라고 입력하고 엔터를 누른다. 이렇게 나오면 잘 설치가 된 것이다.

Git

1. 시작

git의 핵심 목적 버전 관리 백업 협업 이 세 가지는 순서가 있다. 앞에 것을 이해하지 못하면 뒤에 것도 이해하기 어렵다. 버전 관리 문서 작업을 한다고 해보자. 1일에 작업한 문서는 hello.txt라고 저장을 했다. 여기에는 수천 줄의 내용을 입력해놨다. 그리고 2일에 다시 작업을 했는데 이것은 나중에 안쓰게 될 가능성이 있어 hello2.txt라고 구분하여 저장을 했다. 마찬가지로 3일에 작업한 내용도 구분할 필요가 있어서 hello3.txt라고 저장을 했다. 이러한 과정이 계속되어 굉장히 많은 문서가 생성되어 구조가 복잡해졌다고 생각해보자 이렇게 될 경우 각각의 파일에 어떠한 작업을 했는지 파악하기가 힘들어 이에 대한 설명을 적고 싶어질 것고 언제 수정했는지도 기록하고 싶을 것이다. 이것을 가능..

ewok
'Git' 카테고리의 글 목록 (3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