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정리

이진 탐색

2023. 3. 13. 17:07
목차
  1. 이진 탐색 알고리즘
  2. 이진 탐색 동작 예시
  3.  
  4. 이진 탐색의 시간 복잡도
  5. 이진 탐색 소스코드
  6. 파라메트릭 서치(Parametric Search)

이진 탐색 알고리즘

  • 순차 탐색 : 리스트 안에 있는 특정한 데이터를 찾기 위해 앞에서부터 데이터를 하나씩 확인하는 방법
  • 이진 탐색 : 정렬되어 있는 리스트에서 탐색 범위를 절반씩 좁혀가며 데이터를 탐색하는 방법
    • 이진 탐색은 시작점, 끝점, 중간점을 이용하여 탐색 범위를 설정한다.

 

이진 탐색 동작 예시

 

 

이진 탐색의 시간 복잡도

  • 단계마다 탐색 범위를 2로 나누는 것과 동일하므로 연산 횟수는 log2N에 비례한다.
  • 예를 들어 초기 데이터 개수가 32개일 때, 이상적으로 1단계를 거치면 16개가량의 데이터만 남는다.
    • 2단계를 거치면 8개가량의 데이터만 남는다.
    • 3단계를 거치면 4개가량의 데이터만 남는다.
  • 다시 말해 이진 탐색은 탐색 범위를 절반씩 줄이며, 시간 복잡도는 O(logN)을 보장한다.

 

 

이진 탐색 소스코드

재귀적 구현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 이진 탐색 소스코드 구현(재귀 함수)
    public static int binarySearch(int[] arr, int target, int start, int end) {
        if (start > end) return -1;
        int mid = (start + end) / 2;
        // 찾은 경우 중간점 인덱스 반환
        if (arr[mid] == target) return mid;
        // 중간점의 값보다 찾고자 하는 값이 작은 경우 왼쪽 확인
        else if (arr[mid] > target) return binarySearch(arr, target, start, mid - 1);
        // 중간점의 값보다 찾고자 하는 값이 큰 경우 오른쪽 확인
        else return binarySearch(arr, target, mid + 1, end);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 원소의 개수(n)와 찾고자 하는 값(target)을 입력받기 
        int n = sc.nextInt();
        int target = sc.nextInt();

        // 전체 원소 입력받기 
        int[] arr = new int[n];
        for (int i = 0; i < n; i++) {
            arr[i] = sc.nextInt();
        }

        // 이진 탐색 수행 결과 출력 
        int result = binarySearch(arr, target, 0, n - 1);
        if (result == -1) {
            System.out.println("원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else {
            System.out.println(result + 1);
        }
    }

}
# 이진 탐색 소스코드 구현 (재귀 함수)
def binary_search(array, target, start, end):
    if start > end:
        return None
    mid = (start + end) // 2
    # 찾은 경우 중간점 인덱스 반환
    if array[mid] == target:
        return mid
    # 중간점의 값보다 찾고자 하는 값이 작은 경우 왼쪽 확인
    elif array[mid] > target:
        return binary_search(array, target, start, mid - 1)
    # 중간점의 값보다 찾고자 하는 값이 큰 경우 오른쪽 확인
    else:
        return binary_search(array, target, mid + 1, end)

# n(원소의 개수)과 target(찾고자 하는 값)을 입력 받기
n, target = list(map(int, input().split()))
# 전체 원소 입력 받기
array = list(map(int, input().split()))

# 이진 탐색 수행 결과 출력
result = binary_search(array, target, 0, n - 1)
if result == None:
    print("원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else:
    print(result + 1)

 

반복문 구현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 이진 탐색 소스코드 구현(반복문)
    public static int binarySearch(int[] arr, int target, int start, int end) {
        while (start <= end) {
            int mid = (start + end) / 2;
            // 찾은 경우 중간점 인덱스 반환
            if (arr[mid] == target) return mid;
            // 중간점의 값보다 찾고자 하는 값이 작은 경우 왼쪽 확인
            else if (arr[mid] > target) end = mid - 1;
            // 중간점의 값보다 찾고자 하는 값이 큰 경우 오른쪽 확인
            else start = mid + 1; 
        }
        return -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 원소의 개수(n)와 찾고자 하는 값(target)을 입력받기 
        int n = sc.nextInt();
        int target = sc.nextInt();

        // 전체 원소 입력받기 
        int[] arr = new int[n];
        for (int i = 0; i < n; i++) {
            arr[i] = sc.nextInt();
        }

        // 이진 탐색 수행 결과 출력 
        int result = binarySearch(arr, target, 0, n - 1);
        if (result == -1) {
            System.out.println("원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else {
            System.out.println(result + 1);
        }
    }

}
# 이진 탐색 소스코드 구현 (반복문)
def binary_search(array, target, start, end):
    while start <= end:
        mid = (start + end) // 2
        # 찾은 경우 중간점 인덱스 반환
        if array[mid] == target:
            return mid
        # 중간점의 값보다 찾고자 하는 값이 작은 경우 왼쪽 확인
        elif array[mid] > target:
            end = mid - 1
        # 중간점의 값보다 찾고자 하는 값이 큰 경우 오른쪽 확인
        else:
            start = mid + 1
    return None

# n(원소의 개수)과 target(찾고자 하는 값)을 입력 받기
n, target = list(map(int, input().split()))
# 전체 원소 입력 받기
array = list(map(int, input().split()))

# 이진 탐색 수행 결과 출력
result = binary_search(array, target, 0, n - 1)
if result == None:
    print("원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else:
    print(result + 1)

 

 

파라메트릭 서치(Parametric Search)

  • 최적화 문제를 결정 문제('예' 혹은 '아니요')로 바꾸어 해결하는 기법
    • 예시 :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가장 알맞은 값을 빠르게 찾는 최적화 문제
  • 일반적으로 코딩 테스트에서 파라메트릭 서치 문제는 이진 탐색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알고리즘 >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0) 2023.03.16
이진 탐색 유형 문제  (0) 2023.03.13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DFS/BFS) 유형 문제  (0) 2023.03.13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DFS/BFS)(4) - BFS(Breadth-First Search)  (0) 2023.03.13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DFS/BFS)(3) - DFS(Depth-First Search)  (0) 2023.03.13
  1. 이진 탐색 알고리즘
  2. 이진 탐색 동작 예시
  3.  
  4. 이진 탐색의 시간 복잡도
  5. 이진 탐색 소스코드
  6. 파라메트릭 서치(Parametric Search)
'알고리즘/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이진 탐색 유형 문제
  •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DFS/BFS) 유형 문제
  •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DFS/BFS)(4) - BFS(Breadth-First Search)
ewok
ewok
ewok
기록장
ewok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 웹개발 교육
      • HTML
      • CSS
      • JavaScript
      • Database
      • Java
      • jQuery
      • Ajax
      • Bootstrap
      • jsp
      • Spring
      • MyBatis
      • 프로젝트
    • JAVA
    • SpringBoot
      • 기초
      • AWS
      • 개인프로젝트
    • Spring Security
    • JPA
    • 테스트코드
    • Error
    • CS
      • 컴퓨터 구조
      • 이산수학
    • 알고리즘
      • 정리
      • Java
    • SQL
    • 자격증
      • SQLD
      • 정보처리기사
    • Git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브랜치
  • base
  • 생성자
  • 버전 관리
  •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 branch
  • 노랭이
  • this
  • GIT
  • merge commit
  • SQLD
  • sqld 합격
  • git bash
  • sqld 자격증
  • org.hibernate.tool.schema.spi.CommandAcceptanceException

최근 댓글

최근 글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ewok
이진 탐색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