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떡볶이 떡 만들기
답안 예시
더보기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 떡의 개수(N)와 요청한 떡의 길이(M)
int n = sc.nextInt();
int m = sc.nextInt();
// 각 떡의 개별 높이 정보
int[] arr = new int[n];
for (int i = 0; i < n; i++) {
arr[i] = sc.nextInt();
}
// 이진 탐색을 위한 시작점과 끝점 설정
int start = 0;
int end = (int) 1e9; // 십억
// 이진 탐색 수행 (반복적)
int result = 0;
while (start <= end) {
long total = 0;
int mid = (start + end) / 2;
for (int i = 0; i < n; i++) {
// 잘랐을 때의 떡의 양 계산
if (arr[i] > mid) total += arr[i] - mid;
}
if (total < m) { // 떡의 양이 부족한 경우 더 많이 자르기(왼쪽 부분 탐색)
end = mid - 1;
}
else { // 떡의 양이 충분한 경우 덜 자르기(오른쪽 부분 탐색)
result = mid; // 최대한 덜 잘랐을 때가 정답이므로, 여기에서 result에 기록
start = mid + 1;
}
}
System.out.println(result);
}
}
# 떡의 개수(N)와 요청한 떡의 길이(M)을 입력
n, m = list(map(int, input().split(' ')))
# 각 떡의 개별 높이 정보를 입력
array = list(map(int, input().split()))
# 이진 탐색을 위한 시작점과 끝점 설정
start = 0
end = max(array)
# 이진 탐색 수행 (반복적)
result = 0
while(start <= end):
total = 0
mid = (start + end) // 2
for x in array:
# 잘랐을 때의 떡볶이 양 계산
if x > mid:
total += x - mid
# 떡볶이 양이 부족한 경우 더 많이 자르기 (오른쪽 부분 탐색)
if total < m:
end = mid - 1
# 떡볶이 양이 충분한 경우 덜 자르기 (왼쪽 부분 탐색)
else:
result = mid # 최대한 덜 잘랐을 때가 정답이므로, 여기에서 result에 기록
start = mid + 1
# 정답 출력
print(result)
2. 정렬된 배열에서 특정 수의 개수 구하기
답안 예제
더보기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int lowerBound(int[] arr, int target, int start, int end) {
while (start < end) {
int mid = (start + end) / 2;
if (arr[mid] >= target) end = mid;
else start = mid + 1;
}
return end;
}
public static int upperBound(int[] arr, int target, int start, int end) {
while (start < end) {
int mid = (start + end) / 2;
if (arr[mid] > target) end = mid;
else start = mid + 1;
}
return end;
}
// 값이 [left_value, right_value]인 데이터의 개수를 반환하는 함수
public static int countByRange(int[] arr, int leftValue, int rightValue) {
// 유의: lowerBound와 upperBound는 end 변수의 값을 배열의 길이로 설정
int rightIndex = upperBound(arr, rightValue, 0, arr.length);
int leftIndex = lowerBound(arr, leftValue, 0, arr.length);
return rightIndex - leftIndex;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 데이터의 개수 N, 찾고자 하는 값 x 입력받기
int n = sc.nextInt();
int x = sc.nextInt();
// 전체 데이터 입력받기
int[] arr = new int[n];
for (int i = 0; i < n; i++) {
arr[i] = sc.nextInt();
}
// 값이 [x, x] 범위에 있는 데이터의 개수 계산
int cnt = countByRange(arr, x, x);
// 값이 x인 원소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if (cnt == 0) System.out.println(-1);
// 값이 x인 원소가 존재한다면
else System.out.println(cnt);
}
}
'알고리즘 >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유형 문제 (0) | 2023.03.23 |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0) | 2023.03.16 |
이진 탐색 (0) | 2023.03.13 |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DFS/BFS) 유형 문제 (0) | 2023.03.13 |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DFS/BFS)(4) - BFS(Breadth-First Search) (0) | 2023.03.13 |